분류 전체보기 84

2025-07-14 자산시장 동향

1. 코스피 3000~3100 횡보장 & 인버스 레버리지 양 매수 대응최근 코스피는 3000~3100 구간에서 횡보하다→ 어제(목·금) 상방 돌파 시도가 나타나며 3200 고지를 향해 치열한 공방전 벌어지는 중.인버스 레버리지 포지션은 이미 익절한 상태이며, 롱 흐름 고착 시 인버스 2× 탈출 전략 필요.전략 제안단기 횡보 전환 또는 약세 가능성 대비 인버스 청산추세 지속 시 롱으로 리밸런싱2. 트럼프의 구리 관세 50% 발표 & 구리 가격 폭등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5년 8월 1일부터 구리 수입에 50% 관세 부과 발표 이에 따라 COMEX 구리 선물 가격은 10~13% 급등, 사상 최고치 기록 반대로 LME(런던) 가격은 하락세… (미국 내 프리미엄 상승 구조 발생) ➡ 구리 선물 인버..

시장동향 2025.07.14

2025-07-10 이번엔 구리다 !

나는 2025년 8월 1일부터 구리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발표한다!이는 강력한 국가 안보 평가를 받은 후 내린 결정이다.구리는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 센터, 리튬이온 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미사일 방어 시스템, 그리고 지금 우리가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는 극초음속 무기에 꼭 필요한 자원이다.구리는 미 국방부가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소재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멍청하고 (그리고 졸고 있는!) "지도자"들은 이 중요한 산업을 완전히 망쳐놨다.이 50% 관세는 바이든 행정부의 무책임하고 어리석은 결정들을 되돌릴 것이다.미국은 다시 한번 위대한 구리 산업을 건설할 것이다!지금은 바로 우리의 황금시대(GOLDEN AGE)다!아래는 추가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한 구리 50% 관..

시장동향 2025.07.10

주식 설거지 과정

종합지수 3100에 다시 보는 주식 설거지 과정1. 초기 상승: 기업 실적, 시장 트렌드, 혹은 긍정적인 뉴스로 인해 주가가 상승하기 시작합니다.2. 관심 집중: 주가가 급등하면서 언론, 커뮤니티, 개인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합니다.3. 추격 매수: 대중이 뒤늦게 뛰어들면서 주가가 더욱 과열되며 상승합니다.4. 고점 형성: 초기 투자자들이 이익을 실현하며 매도하기 시작합니다.5. 급락: 새로운 매수자가 줄어들고,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여 고점에 산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게 됩니다.자나깨나 주식 조심

rubbish philosophy 2025.07.03

2025년 7월 3일 환율 시장 동향

**미국 달러(USD)**로이터 여론조사 결과, 미 달러는 미국의 무역 관세, 채무 증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눌리며 약세 지속 중입니다. 달러 지수(DXY)의 11% 하락은 3.5년 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외국계 기관이 달러에 숏 포지션을 대거 편성, 향후에도 약세 흐름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달러 약세의 수혜를 입어 EUR/USD는 약 1.18 수준에서 강세 흐름. ECB의 방어적 전략과 유럽 내 국채 수요 증대로 추가 상승 기대가 높습니다 .TradingEconomics에 따르면 7월 2일 기준 EUR/USD는 1.1755 → 7월 3일 1.1810 수준에서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영국 파운드(GBP)**7월은 역사적으로 GBP/USD가 강세를 보이는 시즌으로, 이번 달에도 상승..

시장동향 2025.07.03

2025-07-02 코스피 3000, 횡보장의 서막

코스피 3000, 횡보장의 서막코스피가 심리적 저지선이자 전고점인 3000선에 진입했지만, 이후 뚜렷한 상승이나 하락 없이 방향성을 잃은 모습이다. 기업 실적은 견조하고 외국인 수급도 나쁘지 않지만, 금리 인하 지연과 미국 경기 둔화 우려가 상승 탄력을 제어하고 있다.투자자들은 상승장이 이어질지, 아니면 되돌림이 올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 채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히 맞서며 변동성은 줄어들고, 시장은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3000선에서의 횡보는 불확실성과 기대감이 공존하는 전형적인 박스권 장세다. 이 구간이 매물 소화 구간이 될지, 정점의 신호가 될지는 글로벌 변수와 실적 시즌의 결과에 달려 있다.그래서...인버스2X 레버리지 양매수 매도 원화 채굴 중!!!인버스 no.2 매도...

Money talks 2025.07.02

환율의 역설: 달러는 약해졌는데 왜 원화는 강해지지 않을까?

2025년 7월 1일, 미국 달러 지수는 3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미국 재정 악화, 트럼프 재집권 가능성으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이 겹치며 달러는 흔들리고 있다. 달러 인덱스는 96선까지 밀리며 전 세계 통화 대비 가치가 눈에 띄게 약세를 보이고 있다.그런데도 원화는 강하지 않다. 원·달러 환율은 여전히 1,350원대에 머무르고 있다. 달러가 약해졌다면, 원화는 더 강해져야 하는 것 아닌가? 그 단순한 도식이 통하지 않는 이유는,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이 처한 현실 때문이다.무엇보다 한·미 간 금리차가 여전히 크다. 미국은 금리 인하를 예고했지만, 한국은행은 여전히 인하에 신중하다. 여기에 글로벌 자산시장을 짓누르는 중동 리스크, 미·중 무역 불안, 외국인 투자자..

Money talks 2025.07.01

2025-06-27 변동성은 사라지고, 단타의 삶은 멈췄다

변동성은 사라지고, 단타의 삶은 멈췄다– 고요한 시장 위, 하루 벌어 하루 먹던 나의 고백이번 주 자산시장은 놀랍도록 조용했습니다.코스피는 3,000선 턱밑에서 숨을 죽였고, 원달러 환율은 1,370원대에서 미동도 없었으며, 원엔 환율은 8.6~8.7 사이를 하루종일 맴돌 뿐이었습니다. WTI 역시 중동 리스크가 사라지자 급속히 안정화되어 70달러 부근에서 망부석처럼 버티고 있습니다.정말, 아무것도 안 일어났습니다.저처럼 단타로 생활비를 버는 사람에겐 이런 평온은 재앙입니다.뉴스를 들여다봐도, 차트를 들춰봐도, 기회는 없습니다. 틱이 안 뜁니다. 촛불도 안 꺼지고 안 켜집니다. 하루의 시작과 끝이 한 줄로 이어져 버립니다. “한 번만 흔들려줘…”라는 간절한 마음이 허공으로 흩어집니다.이란과 이스라엘의 전..

rubbish philosophy 2025.06.27

6월 26일 코스피 시황 종합 분석

6월 26일 코스피 시황 종합 분석📉 장·마감 동향 요약개장 초반 외국인과 기관의 강한 매도세로 3,100선이 붕괴, 코스닥도 800선 아래로 하락 .장중 낙폭은 약 2%에 달했으며, 단기 급등 종목 중심으로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종가 기준, 코스피는 전일 대비 0.92% 하락한 3,079.56pt에 마감. 코스닥은 787.95pt, -1.29% .투자자별 매매 동향: 개인은 8,300–8,400 억 원 순매수, 외국인 5,800–6,800 억 원, 기관 2,500–3,200 억 원 순매도 .🔎 주요 특징 및 배경차익 실현 압력: 전일 강세로 인해 외국인·기관이 매도 전환, 지수 조정 과열 분위기 .과열 진정 현상: 장중 2% 하락은 이전 과열 국면에서 자연스러운 ‘숨고르기’ 움직임 .종..

시장동향 2025.06.26

2025-06-25일 코스피 동향

✅ 1. 글로벌 금리·미국 정책 불확실성6월 25일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 인플레이션 우려를 경계하며 금리 인하 시기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신중 기조는 글로벌 위험자산에 대한 수요를 억제해 코스피에도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 2. 중국 경기 둔화 및 수출 불확실성중국 경제가 예상보다 부진한 회복세를 보이며 한국 수출 기대감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자동차·2차전지 등 수출주식에 모멘텀이 부족해 지수 상승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 3. 밸류에이션 부담과 외국인·기관 관망세코스피 PER(주가수익비율)은 여전히 선진국 대비 낮지만, 최근 단기 급등으로 인해 차익 실현 욕구가 커진 상황입니다. 외국인·기관은 차익 실현에 나서며 관망세가 깊어졌고, 개인투자자도 전체적으로 적극..

시장동향 2025.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