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2025-07-10 이번엔 구리다 !

shadefly 2025. 7. 10. 19:13


나는 2025년 8월 1일부터 구리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발표한다!
이는 강력한 국가 안보 평가를 받은 후 내린 결정이다.

구리는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 센터, 리튬이온 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미사일 방어 시스템, 그리고 지금 우리가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는 극초음속 무기에 꼭 필요한 자원이다.

구리는 미 국방부가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소재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멍청하고 (그리고 졸고 있는!) "지도자"들은 이 중요한 산업을 완전히 망쳐놨다.

이 50% 관세는 바이든 행정부의 무책임하고 어리석은 결정들을 되돌릴 것이다.
미국은 다시 한번 위대한 구리 산업을 건설할 것이다!

지금은 바로 우리의 황금시대(GOLDEN AGE)다!


아래는 추가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한 구리 50% 관세 발표 이전 이후의 가격 변동, 시장 분석, 향후 전망, 그리고 주요 리스크 포인트입니다.

🔎 최근 주요 기사 분석

1. 단기 및 중기 영향

비용 급등 우려
8월 1일 관세 시행은 미국 내 구리 가격 상승, 산업용 비용 증가, 그리고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AI 데이터센터, 전기차, 반도체 산업 등에 타격이 클 것으로 경고합니다  .

미국 외 글로벌 가격 상승 & 하락 이중 충격
발표 후 미국 Comex 가격이 폭등한 반면, LME·SHFE 등 국제 시세는 과잉 공급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


2. 공급 재편 및 시장 반응

수요 재편 → 선적 급등
관세 전 물량 선적이 크게 증가했으며, Citi는 향후 3개월 내 비(非)미국 국가는 톤당 약 $8,800 수준으로 가격 조정될 것으로 예상  .

물량 축소 & 할인 예측
미국 입항 이후 재고 소진 시, 수입 둔화에 따라 글로벌 가격 재조정, 미국 내 예비 재고 축소가 예상됩니다  .


🌍 향후 전망 요약

시기 관측 내용

**단기 (1~3개월)** - U.S. Comex 가격 급등 유지<br>- 비미국 시장 재고 부담 → 가격 하락<br>- 선적 '마지막 스퍼트'로 시장 불균형 급증  
중기 (3~6개월) - 미국 재고 소진 후 수입 급감<br>- 비미국 시장 LME 가격 안정 또는 약세<br>- 국내 생산 기반 구축까지는 지연 가능성
장기 (12개월+) - 인프라·전환 수요로 글로벌 공급 부족 예상<br>- 미국 내 신광산·정련소 건설 10년 이상 소요


⚠️ 리스크 요인 및 변수

관세 적용범위 불확실성
농축물(concentrate), 스크랩(scrap) 등 어떤 형식이 적용될지 미정. 관세 예외(carve-out) 지정 여부가 시장 향방 좌우  .

주요 수출국 대응
칠레, 캐나다, 페루는 면제 요청 중. 생산량 감소·투자 위축 우려  .

보복관세 및 무역분쟁
상호 관세 도입 시 글로벌 공급망 혼란 심화 가능.



---

💡 종합 분석 및 향후 전략 제언

1. 단기 전략

미국 내 수급 혼란에 주목: Comex 프리미엄 확대 → 단기 가격 급등 지속

글로벌 가격 차익 활용 (아비트라지): 비미국 시장 재고 과잉 시 '저가 매수' 기회 존재



2. 중기 전략

관세 면제, 예외 품목 주시: 관세 범위 확정 시, 시장 안정화 여부 결정

비미국 시장 확대 또는 재편성: 중국·유럽으로 물량 전환, 글로벌 유통망 재편



3. 장기 전략

미국 국내 생산 확대 불가피: 신규 광산·정련투자 필요하나 10년 이상 소요

대체소재 개발 및 전략 비축 강화: AI, 에너지전환 관련 비용 상승 대응 필요

그래서...

570073.KS

570073
구리선물 인버스 2X를 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