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2025년 6월 17일 기준 자산 시장 동향

shadefly 2025. 6. 17. 09:21

📈 1. 국내 주식시장 (코스피)

강하다 코스피


2025년 6월 16일, 코스피는 2,946.66로 전일 대비 +52.04p (+1.80%) 상승하며, 2022년 1월 이후 약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개인·기관은 순매수(각각 약 450억·2,526억 원), 외국인은 순매도(약 3,223억 원)한 흐름입니다  .

상승 요인은 중동 리스크 완화 기대, 디펜스·IT 업종 강세, 미중 무역협상 재개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


▶ 요약: 코스피는 중동 지정학 리스크 완화 및 외국인 매도 속에도 개인·기관 매수 우위로 강한 상승세.



유가 급등

🛢️ 2. WTI (서부 텍사스산 원유)

6월 16일 종가는 70.94 ~ 75.50 USD 수준  .

최근 중동(이스라엘‑이란) 분쟁 고조에 급등, 70~75달러 사이 변동성이 커진 시장 상태입니다  .

J.P. Morgan 등은 최고 $120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JP모건은 올해 평균 60달러 대 초중반을 재확인했습니다  .

OPEC+의 증산 계획으로 추가 공급 가능성이 존재하나, 단기적 지정학 리스크가 가격을 지지하는 양상  .


▶ 요약: 70달러대에서 지정학 리스크 영향으로 강세…단기 대내외 변수에 큰 영향 받는 흐름.




💱 3. 엔‑원 환율 (JPY/KRW)

2025년 들어 년중 평균 9.62원, 최고 10.14원(4/22), 최저 9.18원(1/24) 수준에서 등락  .

6월 16일 기준 주요 시장조사기관 Wise 기준 1 JPY ≈ 9.36원, 전일 기준 9.3599원  .

최근에는 원화 강세 흐름이 강해져 엔화 약세 전환하며 9원대 초반을 유지 중입니다.


▶ 요약: 엔화 약세 → 9원 초중반 유지, 연초 대비 원강세 흐름 지속.


🔍 종합 인사이트

자산 최근 흐름

코스피 지정학 완화 기대·IT·디펜스주 급등, 3년 만에 최고 수준
WTI 지정학 불안 속 70달러대 지속, 단기 리스크 중심
엔/원 환율 엔화 약세로 원화 강세 반영, 9원 초반 안정적 흐름


전반적으로, 코스피 강세, 국제 유가는 지정학 변수에 취약, 환율은 원화 강세 → 중립 ~ 원화 유리한 상태로 정리됩니다.

그래서


코스피 레버리지, 엔화, WTI 원유 선물 인버스
를 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