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hicle

전기차 선택기준

shadefly 2025. 5. 8. 19:19

1. 단순한 사고에 탈출이 안되어 사람이 산 채로 타죽은 적이 있는가?
설명: 전기차는 고전압 배터리, 전자식 도어, 전자식 윈도우 등을 사용하므로 충돌이나 화재 발생 시 전원 차단으로 문이 열리지 않아 탑승자가 탈출하지 못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중요 이유: 비상 수동 도어 개폐 장치의 위치와 작동 방법은 차량 구매 전에 반드시 숙지해야 하며, 뒷좌석까지 수동 해제가 가능한가도 중요합니다.

2. 배터리는 국산 NCM인가?
설명: NCM 배터리(Nickel-Cobalt-Manganese)는 고에너지 밀도와 긴 주행거리에서 우수하며,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제조사가 주로 생산합니다.

중요 이유: 중국산 LFP 배터리는 안정성은 높지만, 겨울철 성능 저하와 주행거리 단점이 있어 고성능을 원한다면 국산 NCM이 더 적합합니다.

3. 회생제동을 완전히 끌 수 있는가?
설명: 회생제동은 감속 시 전기모터를 역으로 돌려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입니다. 대부분 전기차는 회생제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완전히 비활성화하는 것은 안전 및 설계상 제한됩니다.

중요 이유: 일부 운전자는 회생제동에 따른 이질감이나 빙판길 안전 우려로 끄기를 원합니다. 조절 범위와 수준이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됩니다.

4. 배터리 냉각 방식이 액체 냉각(수냉)인가?
→ 공냉식 대비 화재 안정성과 성능 유지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5. 차량 하부 배터리 보호 구조가 충분한가?
→ 돌출물이나 충격에 의한 배터리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강판, 언더커버 등)가 필수입니다.

6. 배터리 셀, 모듈,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제조사가 명확히 밝혀져 있는가?
→ 국내외 인증받은 제조사인지 확인 필요. 예: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7. 차량 충전 중 화재 발생 시 안전 차단 시스템이 있는가?
→ BMS의 과충전 보호 기능 외에 물리적 퓨즈/릴레이가 탑재되어야 안전함.

8. 사고 시 도어 수동개폐 장치가 쉽게 작동 가능한가?
→ 감전 차단 및 충돌 후 수동 도어 해제 시스템(예: 기계식 도어락) 유무 확인.

9. OTA(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회생제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가?
→ 차량 출시 후에도 운전자 취향에 맞는 제어 설정 가능성 확보.

10. 차량 제동 시스템이 회생제동과 물리 제동(디스크)을 독립적으로 지원하는가?
→ 회생제동 이상 발생 시, 일반 브레이크가 정상 작동해야 함.